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스토리 초기 세팅과 네이버 검색엔진(Search advisor) 등록 방법

by 뉴스인포플 2023. 3. 8.

 

요즈음 티스토리를 운영하시려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수익형 티스토리 블로그홈 초기 설정과 네이버 검색 엔진인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티스토리는 DAUM의 블로그입니다. 3개의 계정에 각 5개씩 블로그를 만들 수가 있어서 총 15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수익형 운영을 위해서 새로운 메일로 다음-카카오 계정을 만들어서 DAUM에 로그인 하고 티스토리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5개 만들어 줍니다. 필요하신 만큼 만드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홈페이지
티스토리 홈페이지



 

2. 티스토리 블로그관리 홈에서 설정 변경하기

 

블로그를 만드셨다면 이제 블로그 관리 홈에서 설정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수익형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와는 다르게 서로 이웃 추가나 구독은 필요 없습니다. 최대한 폐쇄형으로 설정을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1)  카테고리 관리 : 원하시는 3~4개의 카테고리를 만들어 주세요.
     처음에 카테고리 없어도 무방합니다.

2) 콘텐츠 설정 : 글쓰기 시 기본으로 "비공개"

    저작문 사용허가 "표시" / 상업적 이용 "비허용" 

    콘텐츠 병경 "비허용"

 

3) 댓글, 방명록 설정 : "로그인한 사용자만" 댓글은 "승인 후"

    방명록 작성은 "비허용" 한 화면에 "10개"

 

4) 스킨변경 : Book Club 적용

 

5) 스킨편집 : 아주 중요한 곳 / 뒷 단계에서 설정예정

 

6) 사이드바 : 공지사항/최근글/인기글/최근댓글/테그/전체방문자를

    왼쪽 기본 모듈로 보내주세요. 

 

7) 모바일 : 모바일웹 자동연결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8) 메뉴바 / 구독버튼 : "표시하지 않습니다"

 

9) 플러그인 : SNS글 보내기/트위터글 보내기/이전발행글 링크삽입/

    드래그검색/마우스 오른쪽 클릭 방지/위치로그표시 활성화

    본인이 필요하시 기능 추가해도 됨.

 

10) 관리 - 블로그 설정 

    이름/닉네임/블로그 설명 입력

    주소 설정 : 포스트 주소를 "문자"로 설정

    

 

 

3. 네이버 Search Advisor 검색 엔진에 내 티스토리 등록하기

 

 

티스토리는 DAUM의 블로그이기 때문에 티스토리의 글들을 네이버나 구글 등 다른 검색엔진에서 끌어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나의 블로그 주소를 검색엔진에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1)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후에 웹마스터 도구로 들어 가 주세요.

        

 

       

 

 2) 사이트 등록에 내 티스토리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예시) https:buja33.tistory.com

 

     

 

  3) 사이트 소유확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래 HTML 태그 부분을 복사해 주세요.

 

 

  4) 티스토리 블로그관리 홈의 스킨편집으로 들어와서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5) <head> 아래 부분에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복사한 HTML 태그를 붙여주고 "적용"을 클릭합니다.

 

 

 

6) 다시 위의 3) 번 과정의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로 가서 "소유확인"을 눌러줍니다.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다는 완료 창이 보입니다.

 

 

 

7)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서 RSS 제출에서  RSS URL 입력을 해주세요.

     예시) https:buja33.tistory.com/rss

 

 

       8) 사이트맵 제출에서  사이트맵 URL 입력을 해주세요 예시) https:buja33.tistory.com/sitemap.xml

 

 

 

이상으로 초기 수익형 티스토리 블로그홈 관리화면 세팅하는 법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초기 세팅 과정을 하나의 글에 모두 담으려고 했는데, 포스팅이 너무 길어지네요. 

이 과정 이후에 추가로 해야 하는 과정은 아래순서와 같습니다.

 

 

1) 구글 서치콘솔 등록 (ZUM과 BING검색 엔진도 등록하면 좋음)

2) 구글 애드센스 신청하기 (구글 애즈, 애널리틱스 가입)

3) 글 쓰면서 애드센스 승인 기다리기 

4)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 달기

5) 10달러 이상 수익 발생 후 애드센스 핀 우편으로 받기 (계좌등록, 주소확인)

 

 

한 번씩 해보면 두 번째는 쉽게 느껴지는데요, 처음에는 어떤 것부터 해야 하는지 몰라서 헤매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하나씩 과정을 수행해 나가시면서 그 단계에 맞는 공부를 해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승인 나기도 전에 광고 다는 공부부터 미리 할 필요가 없더라고요. 내가 지금 있는 단계부터 그 단계에 맞는 최선책을 찾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